올해 행정안전부에서 추진한 `지역특성 살리기 사업` 공모 최종결과 대구시 3개 사업이 해당돼 특·광역시 중 최다 선정의 성과를 거뒀다.  이번 공모사업에는 전국 지자체에서 총 169개 사업을 신청해 민간 전문가와 중앙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실무 검토,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를 거쳐 27개 사업이 선정됐으며 대구시는 최종결과 3개 사업이 선정돼 특별교부세 12억4000만원을 지원받아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대구시에서 선정된 사업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분야에 선정된 수성구의 `수성구 창업센터·일자리센터 확장이전`은 낙후, 협소, 분산돼 있던 기존의 수성구창업센터와 수성구일자리센터를 수성구청년센터와 수성여성새로일하기센터, 수성구영상미디어센터가 모여있는 수성대학교 `성요셉관`으로 확장 이전하는 사업이다.  이는 일자리 관련 시설 집적화를 통해 시민 접근성 및 편의성을 개선하고 관학 협력 및 일자리 유관기관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취·창업지원 역량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분야에 선정된 동구의 `우리 모두 동대구로, hot한 e-끌림`은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앞 먹거리골목이 대구 대표 관문 상권으로 거듭나기 위해 지역 특성화 거리 및 커뮤니티 거점 조성 등을 통해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특히 이 사업은 대구전통시장진흥재단,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CMB 대구방송 등과 함께 협업 기관으로 대구신세계백화점도 참여해 대형마트와 골목상권이 함께 상생하는 사례가 된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마찬가지로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분야에 선정된 북구의 `함지산 먹골촌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은 지역 상가번영회 및 주민자치위원회 등 민간에서 주도해 구암동 고분군, 팔거산성, 운암지 수변공원 등 대상지 인근 지역 대표 문화관광 요소와의 연계를 통해 `문화와 쉼이 있는 골목조성`으로 침체된 골목상권을 회복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이번 행정안전부 `지역특성 살리기 사업` 공모에 선정된 사업들은 오는 2024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해 2025년까지 지역경제 활력 강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예정이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