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대구인터불고호텔 및 경산 무선전력전송기술센터에서 중소벤처기업부, 경산시, 경북테크노파크, 특구기업, 협력기관 관계자 및 전문가 등과 함께 경북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규제자유특구 전체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에 개최된 워크숍은 지난해 8월 경북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규제자유특구 지정 이후 무선충전 특구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기 지정 특구의 운영 노하우를 공유하고 실무진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한편 올 하반기 빠른 실증 착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경북도는 특구 기간 동안 안전한 실증과 체계적인 관리·감독을 위해 경북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규제자유특구 안전점검위원회를 구성, 위원 17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안전점검위원회는 지자체, 소방 ·안전, 무선전력전송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특구 실증 전 과정에 사업별 안전관리 확인, 안전대책 현황 모니터링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경북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규제자유특구는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정책 강화로 내연차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커져가는 무선충전 산업을 지역 내 집중 육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주유소를 비롯한 교통요지에 고출력 무선충전, 유선충전기 연계형 무선충전, 초소형 전기차 무선충전 실증 등을 통한 전기차 이용자의 편의성 강화,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준 마련을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경북도, 경산시, 경북테크노파크, 특구사업자가 원팀이 돼 빠른 실증착수를 위한 준비를 검토하고 특구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무선충전 산업 경쟁력 선점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특구 초기단계부터 관계부처, 연구기관 및 기업들과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경산·영천·경주의 자동차 소재·부품 클러스터와 연계해 내연차의 미래차 산업 전환과 무선충전 신 산업생태계 조성 등 후속 정책사업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최혁준 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경북은 이미 배터리, 헴프,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특구 운영의 경험을 바탕으로 신산업 생태계 구축의 DNA를 갖고 있다"며 "무선충전 특구에서도 성공의 방정식을 이어 경산이 글로벌 전기차 무선충전의 메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