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기업 63%가 중국 리오프닝과 관련해 경영 실적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 2월 22일부터 3월 3일까지 지역 내 10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구미 기업체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응답기업 102개사는 중국의 리오프닝이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부작용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4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영향 없음 33.0%, 큰 도움이 됨 9.0%, 부작용이 매우 클 것 6.0% 도움이 되지만 전체적으로 부작용이 더 크다 5.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의 리오프닝이 기업의 매출, 수익 등 경영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영향이 없다는 답변이 63.3%로 가장 많았다.
긍정적 효과 있을 것 29.6%, 부정적 효과 있을 것 7.1%로 대부분의 기업은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의 질문에 긍정적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48.3%가 중국으로의 수출물량 증가가 가장 크게 기대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부품소재 조달로 공급망 안정이 37.9%, 중국진출기업 가동 정상화 6.9%, 물류차질 완화 6.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별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대중국 수출 증대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다"라며 44.3%로 가장 많이 꼽았다.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이 40.0%, 중국내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 4.3%, 기타 11.4% 순으로 응답했다.
이처럼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사업환경이 변화하는 가운데 대중국 사업에 대한 귀사의 향후 계획은 어떠한가에 대한 질문에 72.4%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응답했다.
계속 늘려갈 예정이 14.3%, 점차 줄여갈 예정이 13.3%로 큰 변동사항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심규정 구미상공회의소 경제조사팀장은 "구미상공회의소는 이달 주한 중국상공회의소 회장단 초청 교류회 개최, 지난달에는 MWC 참관단을 파견하는 등 중국·미국·유럽 등 구미산단의 주요교역국과의 교류 및 정보공유 등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