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미래 경북교육체제 구축을 위해 통합운영학교 지정 및 교육정책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유·초·중 통합운영학교 정책연구학교를 지정해 3년간 운영하고 지난 2019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위탁연구를 시작으로 2020년 3건, 올해 2건의 정책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통합된 학교급 간 교사들의 협조 및 지원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정규·방과후교육 프로그램 및 특별활동과 상치교사 문제 해소를 통한 질 높은 수업이 이뤄질 수 있다.  업무 분장 통합에 따른 교원의 업무부담 감소뿐만 아니라 학교운영비, 각종 시설 및 기자재 공동이용을 통한 재정운영의 효율성과 무학년제·집중이수제의 시범적 도입 등 학제·학교 운영상의 유연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북교육청은 영덕 지품초병설유치원, 지품초, 지품중학교를 유·초·중 통합운영학교 연구학교로 지정하고 앞으로 3년간 운영한다. 연구학교의 사례를 도내 16개 통합운영학교와 일반학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경북교육청은 지난 2019년부터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미래 경북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2019년 정책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미래 경북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 소규모 학교의 교육과정 지원(생태환경 교육과정, 마을연계 교육과정,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배움 중심 교육과정 등), 자유학구제 정책의 안정적 확대 지원(에듀 버스, 통학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 등이 제안됐다.  경북교육청은 정책연구 결과를 반영해 경북 특화 교육과정 운영 지원, 작은학교살리기 등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경북형 특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공동 수업 학교, 원격 화상 수업 학교, 도·농 상생 학교, 초-중 연계 학교, 원도심 살리기 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 등을 지원하고 있다.  농산어촌의 작은 학교는 통폐합이 아니라 작은학교살리기 정책으로 전환하고 복식 학급 맞춤형 수업 지원, 농산어촌 성장학교지원,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 우수학교 인증제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