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전초전`으로 여겨진 4·7 재보궐선거가 마무리되면서 정치권은 이제 차기 대선 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재보선이 `더불어민주당 참패-국민의힘 압승`으로 끝나면서 차기 대선 구도가 완전히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여야 잠룡들의 행보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의 재보선 참패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은 당분간 침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이 위원장은 지난달 초 당 대표직을 내려놓은 후 한 달간 전면에서 선거를 지휘했지만 참패를 당한 만큼 정치적 입지가 급격히 좁아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특히 이 위원장은 당 대표 재임 시절 박원순·오거돈 전 시장의 성추행과 불명예 퇴진으로 보궐선거 후보를 낼 수 없는 상황임에도 지난해 직접 전 당원 투표를 결정하고 당헌·당규 개정을 주도해 이번 참패의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여기에 최근 이 위원장의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도 일부 여론조사에서 한 자릿수까지 떨어지는 등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태다. 앞으로 뚜렷한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한다면 대권 도전의 기회는 멀어질 가능성도 높다는 정치권의 관측이 대체적이다.  여권 대권주자 가운데 지지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경우 선거법상 직접적인 관여가 불가능해 이번 참패의 책임론에서 다소 자유로운 상황이다.  야권의 차기 대권 주자들로선 모처럼 전국단위 선거에서 승리를 거둔 만큼 정치적 행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관측이다.  우선 야권 단일화에 공을 세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범야권 주자로서 입지를 다지는 효과를 달성했다. 국민의힘이 압승을 거두면서 대선 재도전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태다.  특히 안 대표가 이번 재보선 과정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물론 부산시장 보궐선거 등 다른 선거에 출마한 국민의힘 후보들을 지원하는데 발벗고 나서면서 야권 지지층에게 확실하게 눈도장을 찍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이 이뤄질 경우 안 대표의 당내 지지 기반이 약한 것은 앞으로 약점이 될 수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권주자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정치 참여를 선언하지 않아 이번 재보선에서 한걸음 떨어져 있었지만 확실한 존재감을 입증하는 데엔 성공했다.  윤 전 총장은 사전투표 현장에서 정치적 발언 없이 "아버님께서 기력이 전 같지 않으셔서 모시고 왔다"라고만 말한 뒤 곧바로 투표소를 떠났지만, 사전투표 일정을 언론에 공개한 것만으로도 사실상 대권 도전 의사를 내비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이번 보선에서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유승민 전 의원도 이번 재보선 승리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의식한 듯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물러난 후 조기 전당대회 개최와 집단지도체제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등 당의 비전에 대해서도 적극 목소리를 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