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신규 창업을 하는 자영업자가 2년이상 버티는 확률은 낮다. 전문가들은 대략 10명중 4.3명은 2년내에 투자한돈을 날리고 폐업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만큼 창업은 쉽지 않은 길임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전체 창업 가운데 `생계형 창업`이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개월 미만 초기 창업 가운데 생계형 창업 비중은 36.5%였다. GEM이 꼽은 26개 혁신경제국의 생계형 창업 비중 평균은 18.2%로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었다. 30%를 넘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양질의 일자리와 사회안전망이 미비한 가운데 기존 직장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생계유지의 마지막 수단으로 요식업 등의 저부가가치 서비스 창업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대구경북도 예외는 아니다. 음식점과 도·소매업 등 전통서비스업 중심의 생계형 창업 붐이 일면서 충북지역 자영업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이같은 현상은 장기실직자들이 금융위기이후 노동시장에 진입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으나 불황으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자영업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후대책이 부족한 상황에서 경기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60세 이상 고령층 자영업 참여가 확대되고 좋은 일자리를 기대하며 자발적 실업상태에 있던 29세 이하 청년층 고학력자 중심으로 자영업 선호 경향이 커지고 있다. 문제는 자영업 증가가 음식점 등 전통적인 서비스업에 몰리고 있어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자영업 퇴출 증가 및 자영업 부채의 부실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자영업 대출이 이자가 높은 제2금융권에 집중되어 있고 상환능력도 임금근로자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때문에 신규창업이 실패로 돌아가 가정경제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개인사업자 대출 감독을 가계부채 수준으로 강화해 부채가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신규 자영업 창업이 부가가치가 높은 부문에서 발생하도록 창업지원 정책도 바뀌어야 한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일자리를 나누는 정책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시간제 근무 등을 확대해 고용을 늘리는 잡 쉐어링 제도가 강화된다면 자영업을 선택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정부차원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지자체도 유념해야 할 문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