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술사의 흐름에서 역사성, 시대성, 국제성이 함께 공존하면서 변화의 물결과 요구가 크게 작용했음을 보여줬다.  매, 난, 국, 죽의 특성이 회화적 양식으로 변화하면서 표현 기법에서 실질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죽석(竹石), 매죽(梅竹), 난죽(蘭竹) 등의 화면 등장은 시각의 변화와 계절, 식물의 연관성을 회화적으로 이끌었다.  매 시대 문인 사대부들은 지배 세력의 중추적 역할을 하면서 매, 난, 국, 죽의 식물적 가치와 표현의 폭을 넓혔다.  시(詩), 화(畵), 음(音), 서(書)가 어우러지면서 만들어진 격조 있는 종합예술은 중국 미술사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끌림이 있는 영역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