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가 어느덧 33년이 흘렀다. 이 사고로 당시 수돗물 공급이 중단된 것은 물론이고 수많은 시민이 대구 인근 약수터에서 식수를 구하기 위해 인산인해를 이뤘다.  더한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니었다. 대구 취수원의 상류에서는 지난 2004년, 2006년, 2008년, 2009년, 2012년, 2013년 그리고 2018년까지 총 9차례나 1,4-다이옥산, 퍼클로레이트, 불산, 과불화화합물 등의 유해 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이어졌다.  대구시민들에게 수질오염사고는 늘 안고 살아야 할 위협이자 공포가 될 수밖에 없었다. 수질오염사고를 자주 겪은 데에는 대구 취수원이 구미 등 대규모 산단과 매우 인접해 있다는 점이 근본적 이유다. 그러나 다량의 공업용수가 필요한 산업단지는 필연적으로 강과 인접할 수밖에 없어 다수의 산단이 위치한 낙동강 유역에서 단순히 취수지점만을 일부 상류로 이전하는 것이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오히려 세밀히 살펴봐야 할 부분은 취수원의 위치보다 취수원의 형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대표적 수자원은 댐물과 강물이다. 강물은 최소 수백㎞ 이상 긴 거리를 지표면에서 이동하는 수자원으로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관리가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수질오염사고에 취약한 것뿐만 아니라 지표 위의 오염 물질들이 빗물에 섞여 유입되기도 쉬워 좋은 수질을 담보하기가 어렵다.  반면 댐물 경우 거리 면에서 상대적으로 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쉬우며 위치 또한 하천의 최상류에 있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우수한 수질을 갖고 있다. 전국의 특·광역시 및 세종시와 같은 대도시들은 대부분 댐물을 식수원으로 쓰고 있다. 전체 식수원의 70% 이상을 강물에 의존하고 있는 대도시는 대구와 부산이 유일하다.  국가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국민들 간, 지역 간 균등하게 자원을 배분해 국민 누구나 국가자원을 형평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대구, 부산지역만이 수질사고로부터 취약한 강물을 식수로 쓰고 있다는 점은 국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방증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대구시가 추진 중인 `맑은 물 하이웨이`는 산단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 1급수의 안동댐물을 대구로 가져온다는 점에서 최선의 해법이자 수자원 형평성에 부합하는 최적의 방법이라 할 것이다.  맑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는 것은 헌법이 보장하는 시민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국가와 지자체가 반드시 해야 하는 중대한 책무다.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은 대구시민을 33년이나 지속된 수돗물 사고의 위협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최선의 길이며 물복지를 위해 가장 우선시돼야 할 사업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