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조화의 위치가 송대 자리를 확고히 하게 된다.    표현 기법이 구륵(鉤勒)과 몰골(沒骨)을 사용해 사생에서 창의적인 화법으로 전개됐다.      서구로부터 유입된 다양한 식물의 사생(寫生)과 사실 표현에서 매, 난, 국, 죽의 생태와 어울려 정원 조성의 심미안을 제공했다.        화조화의 화권(花卷)에서 서예의 예서(隸), 초서(草)의 필력이 식물의 잎과 꽃의 표현에 담겨있다. 사대부의 지적 교양과 심정의 고아함을 느낄 수 있다.  명대 이런 시대의 화조화를 살펴보면서 현대의 시선에서 고대 그림들을 통해 유람하고 풍류의 소소함을 길게 느끼게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