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박물관은 `초암실기(草菴實記)`를 국역한 총서를 발간했다.  `초암실기`는 예천 출신 초암(草菴) 정윤우(丁允祐, 1539~1605년) 선생의 생전 글과 그의 충절, 명나라로부터 받은 유엽배(柳葉杯)에 대한 후대 인물들의 시문 등을 수록한 책이다.  초암 정윤우 선생은 지난 1570년 문과에 급제 후 홍문관 수찬, 여주목사 등을 지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명나라 사신으로 가서 신종 황제로부터 버들모양 술잔인 `유엽배`를 하사받았다.    한편 명나라가 망한 후 영남 선비들은 유엽배를 안동 복두·난삼, 영주 `대학연의`와 더불어 대명의리(對明義理)의 3대 상징물로 여겨 이에 대한 많은 시문을 남겼고 문중에서는 초암공의 제사 때만 유엽배를 사용하는 등 귀중하게 보관하다 2020년 예천박물관에 기탁했다.  김학동 군수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초암 정윤우 선생과 유엽배에 대해 많이 알려지지 않아 안타까웠다"며 "이번 국역본 발간을 계기로 그 의미를 재조명하고 지역문화 계승과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