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인재개발원은 19일 인재개발원 강당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 교육생(113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1기 중견리더양성과정` 입교식을 열고 2024년 교육 첫발을 내디뎠다.  인재개발원은 올해 도·시군 공무원, 출자 출연기관 직원 등 총 1만702명을 대상으로 58개 과정의 교육을 운영한다.  `지방시대를 주도하는 책임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정하고 이를 위한 5대 추진 전략으로는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직사회 변화 선도 △도정 혁신을 함께 만들어 갈 핵심 인재 양성 △공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강화 △경북의 강점을 활용한 지역특화 교육 내실화 △스마트한 도정을 위한 디지털 역량 교육 강화 등을 마련했다.  인재개발원은 먼저 경북도의 최대 역점과제인 저출생 극복 인식 확산을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릴레이 강연에 나서는 `트렌드 온택트 플러스 특강`을 개설했다. 이번 특강은 교육생들에게 미래 사회의 결혼, 출산 등 인구문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 역량을 강화한다.  중견리더양성과정과 신규임용자과정 교육생들의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을 위한 `저출생 극복 끝장토론`으로 지자체 맞춤형 정책개발에도 나선다.  도정 혁신을 함께 만들어 갈 핵심 인재 양성 분야도 눈에 띈다.  4개 권역별로 도내 역점시책 현장을 찾아가는 `주요 이슈 타운홀 미팅` 과정은 신공항, 반도체, 이차전지 등 현안에 대한 정책 특강, 교육생과의 소통으로 도정 실행력을 높인다.  MZ세대 공무원이 신규 임용자 과정의 예산, 회계, 행정업무 등 직무 강사로 참여하고 스마트팜, 에너지, 바이오, 신공항 등 직무 분야별 우수 공무원을 내부 강사로 발굴해 실전 경험과 아이디어를 공유해 강의 효과를 높인다.  경북의 강점을 활용한 지역특화 교육도 내실 있게 운영한다.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 실현을 위해`지방시대 대전환`, `공항경제권 활성화` 과정을 신설하고 국내 특화사업 현장을 벤치마킹하고 우수사례를 도입하는 `경북도 전통 식품 브랜딩` 과정으로 지역현 안과 연계한 현장 교육을 강화해 나간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부응하는 역량교육도 강화한다.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일상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메타버스 활용 및 신기술 체험` 과정을 개설해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을 꾀하고 메타버스 교육을 전 교육과정으로 확대 운영하여 도내 공직자들의 메타버스 활용성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