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구경북신공항 개항에 대비하고 군위군을 TK 미래 100년을 이끌 `글로벌 신공항 관문`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군위군 도시공간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대구시는 군위군에 TK신공항과 연계한 첨단산업단지, 배후 주거단지 및 생활 SOC 구축을 위해 최대 20조원 규모의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 신공항 인근지역을 각종 규제를 배제하는 `TK신공항프리존`을 조성해 중남부 신경제권을 선도하는 지역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번 종합계획에는 △첨단산업1·2지구 △신 주거지구 △문화·관광지구 △군부대이전지구(후보지)로 구분하고 공항신도시, 공항산업단지, 공무원연수시설, 맑은물 하이웨이 등 핵심사업과 연계돼 있다.    신공항 첨단산업지구는 대구-군위 공동합의문의 공항 배후산업단지 3.3㎢(100만평)를 훌쩍 넘는 파격적인 규모로 최대 30.7㎢(930만평) 규모의 부지 확보를 계획했다.    첨단산업단지는 동서 방향 산업벨트 형태로 1차에서 3차까지 최대 3개 단지를 계획해 반도체, 미래차, UAM, 수소, 친환경소재, 미래 섬유 등 첨단산업과 연구시설 등을 도입해 순차적으로 조성해 갈 예정이다.  또한 기존 대구시 전역에 흩어져 있는 식품 가공 공장을 집적화하기 위해 교통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에 `식품산업단지`를 건설해 2차 가공식품의 활성화도 도모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첨단산업지구 내에는 신공항, 산업단지 및 군위군 전역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복합단지`를 조성한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실질적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수소 연료전지발전, 지붕형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680MW 규모의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신공항 및 산업단지 종사자 등이 정주하는 미래형 주거·산업 복합도시인 `에어시티`를 신공항 근접지에 12.5㎢(380만평) 규모로 계획했으며 구도심인 군위읍 일대를 포함해 균형발전을 도모해 미래 도시로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다.    에어시티는 스마트시티, 중수도, 증기열을 이용한 지역난방, 친환경에너지 등이 적용되고 신공항을 중심으로 신교통수단(UAM, 무인자율주행 등)이 도입되는 미래형 도시다. 이와 함께 조종사, 승무원 등의 교육·훈련을 위한 `종합항공연수시설`도 도입한다.  또한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대구 테크노파크 군위캠퍼스를 조성해 국제 R&D 거점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 일대는 과감한 국내외 기업의 유치 및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해 `TK신공항프리존(TKAFZ)`을 조성, 세계적 수준의 경쟁우위 신성장 거점으로 만들 예정이다.    `군위군 도시공간개발 종합계획`은 오는 2029년 신공항 개항에 맞춰 인프라와 기본시설을 갖추는 것으로 구상했으며 산업단지 및 에어시티 등 일부 사업은 신도시 활성화 상황에 맞춰 단계적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군위군 등과의 협의를 거쳤으며 향후 관련 정부 계획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 규모는 약 20조원 내외로 예산과 민간자본 조달을 통해 추진할 예정이다.    군위군의 개발면적은 현재 13㎢(393만평)에서 93㎢(2810만평)로 약 7배, 인구는 2만3000명에서 25만명으로 11배, 산업용지는 0.4㎢(12만5000평)에서 30.7㎢(930만평)로 최대 75배가 늘어나고 공항 및 첨단산업단지 조성, 기업유치 등으로 일자리는 10만개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홍준표 시장은 "이번 군위군 도시공간개발 종합계획은 군위가 향후 TK 미래 100년을 이끌 명실상부 글로벌 신공항 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것"이라며 "후속 절차들을 차질 없이 추진함으로써 대구경북신공항 개항에 맞춰 군위군을 중남부 신경제권을 이끌 글로벌 관문도시로 건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