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인 83.6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8.1%라는 통계가 나왔다. 특히 남자는 5명 중 2명이, 여자는 3명 중 1명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암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는 지난해 12월 28일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된 `우리나라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발표했다. 국가암등록통계는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암환자 자료를 수집·분석해 해마다 2년 전 기준으로 암 발생률, 상대생존율, 유병률을 산출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신규 발생한 암 환자 수는 27만7523명(남자 14만3723명, 여자 13만3800명)으로 2020년(25만521명) 대비 10.8% 증가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4만7251명→2019년 25만8121명→2020년 25만521명→2021년 27만7523명으로 나타났다.  2020년 암 발생자 수가 줄어들었다 2021년 급격히 증가한 데는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의료 이용자 수가 늘어나면서 국가 암 검진 수검률도 2020년 49.2%에서 2021년 55.1%로 증가했는데 암 검진이 늘면서 발생자 수도 늘어나게 된 것이다.  또 2021년 1월부터 암 등록 지침이 개정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개정된 종양학국제질병분류(ICD-O-3)에 따라 기존에 암으로 분류되지 않았던 대장암, 위암의 양성종양 일부가 암으로 등록됐다.  암 발생률은 전체 인구 10만명 당 526.7명으로 전년(487.9명) 대비 8.0% 증가했다.  이를 기대수명에 대입해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인 83.6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8.1%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자는 기대수명 80.6세까지 39.1%, 여자는 기대수명 86.6세까지 36%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세계표준인구 기준으로 보정해 해외 암 발생률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9.3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0.9명)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미국(362.2명), 캐나다(348.0명), 프랑스(341.9명), 이탈리아(292.6명)보다도 발생률이 적었다.  지난 1999년 이후 암 확진을 받아 2021년까지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환자(암 유병자)는 약 243만4089명으로, 전년(227만6792명) 대비 15만7297명 증가했다. 이는 국민 21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4.7%)이 암유병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65세 이상은 7명당 1명이 암 유병자였으며 남자는 6명당 1명, 여자는 9명당 1명이 암유병자였다.  또 우리나라 국민은 갑상선암(3만5303명)에 가장 많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는 대장암(3만2751명), 폐암(3만1616명), 위암(2만9361명), 유방암(2만8861명), 전립선암(1만8697명), 간암(1만5131명) 순으로 나타났다.  암 발생 순위는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남자의 경우 폐암(2만1176명)이 1위를 차지했고 위암(1만9533명), 대장암(1만9142명), 전립선암(1만8697명), 간암(1만1207명), 갑상선암(8771명)이 뒤를 이었다.  여자는 유방암(2만8720명)이 가장 많았고 그 뒤는 갑상선암(2만6532명), 대장암(1만3609명), 폐암(1만440명), 위암(9828명), 췌장암(4280명)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6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중에선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이 최근 10여 년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또 폐암은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방암의 발생률은 최근 20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국가암검진사업에 속하지 않는 전립선암과 갑상선암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