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탄소중립을 위기가 아닌 혁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 탄소중립 정책 주요성과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대응 △기후변화 적응 △온실가스 감축 △도민 탄소중립 참여 등 올해 4대 핵심 과제를 선정,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지난해 적극적인 공모 대응 및 예산확보 노력 등으로 탄소중립 관련 환경부 공모사업 6건(총 77억9000만원)이 선정됐으며 이는 2022년과 비교해 4건(총 45억9000만원) 늘어난 것으로 공모 대응 및 국비 확보에 사활을 건 결과다.
경북은 지난해 탄소중립 정책의 성과와 경험을 토대로 올해 탄소중립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키 위해 4대 핵심과제를 선정,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대응` 분야에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전략, 부문별·연도별 이행 대책과 녹색산업 육성계획 마련을 위해 `경북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경북도 탄소중립추진단 운영한다.
경북도 탄소중립 지원센터에 연간 4억원을 지원하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 역량과 경험 등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시·군(포항·구미·의성·상주)에도 기초 탄소중립 지원센터를 지정해 센터별 2억원씩 지원할 계획이다.
`기후변화 적응` 분야에서는 관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후위기 적응 대책에 대한 연도별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도민의 기후변화 적응·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광역 환경교육센터 운영 및 기초 환경교육센터(포항·안동·경주·영양)를 지원할 계획이다.
기후변화 취약계층·지역 지원사업은 17억원(포항·김천·구미·칠곡)을 투입해 취약계층의 특성을 고려한 시·군 맞춤형 적응 대책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서는 지난 2020년 기준 경북도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50.8%를 차지하는 산업 부문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더불어 2022년 6월부터 추진한 첨단 전자산업 자원순환 녹색융합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작년 6월 사업대상지로 선정됐으며 `포항 배터리`와 `구미 반도체` 국가전략산업의 `자원 안보`를 선도하기 위해 내년부터 조성계획·기본 및 실시설계 등 본격 추진한다.
`도민 탄소중립 참여` 분야에서는 생활 속에서 스스로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할 수 있도록 20억원을 들여 탄소중립포인트제(에너지·자동차)를 운영하고 시·군별로 온실가스 진단·컨설턴트를 양성해 도민들의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탄소중립도시(Net-Zero City) 지정에 경북도 5개 시·군(포항·구미·상주·의성·예천)이 예비후보지로 선정, 내년 9월 최종후보지(전국 10곳)에 선정될 수 있도록 시·군과 사업계획 수립 등 적극 협의할 예정이다.
조현애 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난해 탄소중립 사업추진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흡한 점은 보완해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겠다.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 기반을 확산시키도록 경북도가 탄소중립 정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