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대구 미래 스마트기술 국가산단)의 조성원가 인하와 제조용지 추가 확보를 위해 당초 329만4000㎡(약 100만평)로 계획했던 사업구역 중 생산녹지와 준주거지역 일부를 제외하고 대신 보상비가 저렴한 개발제한구역 농지를 추가해 304만2000㎡(약 92만평)로 조정해 추진한다.
올해 3월 15일 달성군 화원읍~옥포읍 일원 329만4000㎡(약 100만평) 규모 제2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이후 대구시와 사업시행예정자(LH, 대구도시개발공사)는 우수한 역외기업 유치를 위해 조성원가 인하 방안 마련과 제조용지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사업구역 조정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다.
그 결과 지가 상승 등으로 보상비가 높고 주택, 공장, 근린생활시설 등 이주 문제가 우려되며 복합·상업용지로 계획돼 제조용지 조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 △화원읍 구라리 일원 △사업지 내 준주거지역(화원읍 성산리, 옥포읍 간경리~기세리) △달성군에서 사업추진 중인 화원읍 설화리 공영차고지 일원 및 옛 화원운전면허시험장 등 118만5000㎡(약 36만평)를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대구시는 사업대상지 제외 검토 과정에서 산단 규모 확보와 조성원가 인하를 위해 개발제한구역인 사업대상지 서측 옥포읍 본리리 농지의 추가 편입을 병행 추진했다.
농지개발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속적인 협의 끝에 이달 초 92만2000㎡(약 28만평)의 농지를 추가로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냈다.
이번 사업구역 조정으로 △보상비 절감을 통한 조성원가 인하(평당 160만 원 정도 대폭 인하) △제조용지 추가 확보(35만㎡(약 10만평) 이상) △ 사업성 강화로 신속한 사업추진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조성원가로 공급되는 제조용지의 분양가 인하와 대규모 제조용지 추가 확보는 도심과 가깝고 우수한 교통망으로 최고의 입지환경을 자랑하는 제2국가산단의 기업 유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아울러 사업시행예정자인 LH에서는 오는 12월 초 타당성 조사 용역을 착수해 내년 2월 기재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고 상반기 중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구역 조정으로 지역 내·외의 중견기업과 입주 협약을 통한 기업수요 확보와 개발제한구역 등 토지이용규제에 대한 관계부처 협의가 이미 완료됐음에 따라 신속한 행정절차 이행으로 오는 2025년 목표인 `현 정부 1호 국가산단` 지정은 물론 2030년 목표인 산단 준공도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