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난달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역 내 도시공원 등 참진드기 분포 실태 조사에서 라임병 병원체가 확인됨에 따라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라임병은 감염된 참진드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 미국에서 가장 흔한 진드기 매개 질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연중 발생 가능하나 5~11월에 주로 발생한다.  라임병의 주요 증상은 발열, 오한, 두통 등이며 라임병의 특징적인 발진인 유주성 홍반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농작업이나 텃밭 작업, 일회성 야외활동(등산 등) 중에 진드기에 노출돼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유주성 홍반은 진드기에 물린 부위 또는 주변의 원형 적색 팽창 발진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중심 부위는 호전되고 주변부로 퍼져나가 마치 과녁 모양을 나타내고 치료 없이 수주~수개월 내 자연 소실되는 라임병의 특징적 임상증상이다.  김신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빠른 시기에 치료받지 않으면 신경계, 심혈관계, 근골격계, 피부, 안과적 합병증 등이 생길 수 있는 질환으로 의심 시 빨리 독시사이클린 등의 항생제 투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의관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대구시는 환자 및 사망자 감소를 위한 예방 교육 및 홍보를 위해 포스터, 리플릿, 교육용 캘린더, 배너, 동영상 등 홍보자료 16종을 지역 내 학교, 군부대, 경찰서,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유관기관에 배포하고 의심 환자 발생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