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은 격동의 시대 `패션`과 문화를 이끈 1950~60년대 디자이너들에게 주목하고 패션의 변화에 따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패션디자이너, 문화를 이끈 사람들` 특별전을 오는 8월 4일까지 대구섬유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고 있다.
패션은 누구에게나 관심 분야이고 개인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다.
K-패션이라 일컫을 만큼 우리의 패션문화는 세계적 관심이 되기도 한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황폐해진 사회 분위기에도 패션을 문화의 아이콘으로 이끈 1~2세대 패션디자이너들이 있다.
이번 전시는 그들의 파란만장한 발자취를 돌아보고 한국 현대 패션문화의 형성과 변천에 디자이너들이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섬유박물관에서 기획했다.
전시를 통해 100년도 채 되지 않은 짧은 시간 동안 완전히 다른 복식문화를 이끌어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여다보고 시대를 관통하는 패션문화의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코리아, 패션을 만나다`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폐허 속 한국 현대 패션 문화가 시작된 이야기가 펼쳐진다.
대구로 피난 온 최경자가 우리나라 디자이너의 산실이 된 `국제복장학원`의 전신인 `국제양장사`를 설립하고 낙하산 조각으로 블라우스를 만들어 새로운 패션을 만들어 황폐한 사회적 분위기에도 현대 패션 문화를 꽃피우기 위해 노력한 디자이너들의 활동을 조명한다.
`2부: 디자이너, 패션을 만들다`에서는 널리 알려진 최경자, 노라노를 비롯한 한국전쟁 이후 활동한 초기 디자이너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최경자의 `청자 드레스`를 비롯해 노라노의 `아리랑 드레스`, 앙드레김이 양장점 개업 후 처음 제작한 `벨벳코트와 드레스`, 서수연의 `편직물 드레스`, 한계석의 `돌먼슬리브 드레스`, 이용렬의 `색드레스` 등 그간 대중에 잘 공개되지 않았던 의상들을 볼 수 있어 주목된다.
`3부: 우리는 패션을 입는다`에서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패션 문화를 이끌어 온 이상봉, 설윤형, 루비나 등 8명의 디자이너를 소개하고 우리의 패션 문화의 가능성을 발견해 본다.
전시 외에도 학술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6~7월에는 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및 강연도 함께 진행된다.
특히 지난 4일에는 그 시절 옷을 만들었던 사람들과 그 시절 옷을 입었던 사람들이 지금 세대와 공감할 수 있는 `그 시절, 그 사람, 그 옷` 패션쇼를 개최해 호응을 얻었다.
안중곤 경제국장은 "대구섬유박물관을 찾아 한국 현대 패션 문화를 알아보고 세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경험과 패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