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통계청이 주관한 지자체 지역통계 정책활용 우수사례 공모전 본선에서 전기·가스·수도요금 연체 정보를 활용한 `지역특화형 위기정보 빅데이터 활용사업`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공모전은 통계청이 지역통계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화하고 관련 기관의 사기진작을 목적으로 전국의 지자체, 시도 연구원, 한국은행 등을 대상으로 실시해 지방통계청별 예선과 통계청의 본선 심사를 거쳐 최우수 1건, 우수 2건, 장려 6건을 선정했다.  대구시는 동북지방통계청에서 실시한 지난 예선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데 이어 통계청 주관의 전국 본선에도 최우수상을 수상하게 됐다.  지역특화형 위기정보 빅데이터 활용사업은 `대구시 위기가구 종합지원 계획`에 따라 지난해 10월 한국전력 대구본부, 대성에너지㈜, 상수도사업본부와 `위기정보 빅데이터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해 매월 공공요금 2개월 이상의 연체정보를 제공 받아 시 빅데이터과에서 위치기반으로 중복연체자를 찾아낸다. 이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속 조사를 통해 국민기초, 긴급복지, 기초연금 및 민간자원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대구시는 지역특화형 위기정보 빅데이터 활용사업으로 보건복지부가 단전·단수·단가스 정보를 격월로 보내오는 기존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사업에 비해 최소 2개월 이상 신속하게 위기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더불어 입수된 공공요금 연체정보에 대해서는 위치기반으로 경제적 위기의심가구의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실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촘촘하고 정확한 복지위기가구 발굴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대구시는 이 사업을 시행한 지난해 10월 말부터 올해 9월 말까지 연체정보 31만9862건을 제공받아 이중 중복연체자를 추출해 1만2170건의 복지위기의심가구를 발굴했으며 조사를 통해 기초생활 368건, 긴급복지 244건, 기초연금 등 공공서비스 351건, 민간서비스연계 1427건, 정보안내 6310건 등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했다.  정의관 시 보건복지국장은 "대구시는 지역특화형 위기정보 빅데이터 활용사업을 통해 복지위기가구 발굴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 오고 있다"며 "앞으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발굴 사업을 개발해 더 빨리 복지위기가구를 찾아내고 더 두텁게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