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백록담을 꼭 올라가 보고 싶다고 해서 김포공항까지 태워다 줬는데…".
"3년을 기도해서 낳은 아들인데, 살 만큼 산 나와 이 상황을 바꾸고 싶다".
제주도에 여행갔다가 교통사고로 비명횡사(非命橫死)한 아들의 죽음을 제주 경찰로부터 통보받고 현지 병원으로 달려가 오열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마음이 듣는 이의 가슴을 아리게 했다.
3명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가고 58명의 중·경상자를 낸 지난 6일 오후 제주시 아라동 5·16도로와 제주대 진입로 교차로에서 일어난 대형 교통사고는 충격적이었다.
필자는 우연히 사고 발생 몇십분 후 자동차를 타고 지나가다가 그 아수라의 현장을 직접 봤다.
크레인이 길밖으로 튕겨나간 버스를 끌어올리고 도로변에는 많은 젊은이들이 구조대의 응급조치를 받으면서 얼굴을 움켜쥐고 있었다.
그날 밤 방송뉴스에서 CCTV에 찍힌 사고 순간이 방영됐다.
브레이크 고장으로 추정하는 대형 화물트럭이 정류소에 정차하려는 버스를 뒤에서 들이받으면서 트럭 2대와 버스 2대가 뒤죽박죽되는 4중 추돌사고였으니 아비규환의 사고 순간을 상상해볼 수 있었다.
이 사고로 제주도의 도로교통 안전 문제가 여러 차원에서 제기되고 개선책이 논의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사고는 일어났지만 이 기회에 제주도 교통당국이 사고 수습에 들이는 노력의 몇배로 사고예방에 창의적 연구와 투자를 많이 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개선의 아이디어 중 하나가 사고가 난 직선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바꿔 제주대 사거리 주변의 차량진행 속도를 대폭 줄이자는 것이다.
필자는 교통전문가가 아니어서 함부로 말할 처지는 못 되지만 제주도 외곽 도로에 많이 설치된 회전교차로가 자칫 잃기 쉬운 운전자의 속도감을 자제하게하는 등 도로교통 안전에 효과가 있다는 생각에서 제주대 사거리도 회전교차시설를 만드는 게 좋지 않을까 싶다.
이 사고가 나기 일주일 전인 지난 3월 29일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회전교차로 476곳의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내놓은 게 관심을 끈다.
교차로 설치 전 3년치 평균 데이터와 설치 후 1년치 데이터를 분석했더니 교통사고가 24.7% 감소했고 사상자 수는 33.1%가 줄어들었다.
특히 사망자는 76%, 중상자는 40% 줄어들었다고 한다. 또 회전교차로는 교통사고를 줄일 뿐 아니라 차량 통행 시간도 평균 5.3초 단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를 보면 회전교차로가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회전교차로는 중앙에 원형 교통섬(화단 등)을 만들어 그 주위를 자동차가 시계 반대반향으로 회전하면서 우회전, 직진, 좌회전, 유턴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교차로다.
사람들은 회전교차로에 접근할 때 속도를 크게 줄여야 하니 매우 불편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그 체계에 익숙해지면 사고를 예방할 뿐 아니라 오히려 시간낭비도 줄일 수 있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