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총선에서 참패한 국민의힘이 차기 당 지도부 구성 시점을 두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일각에선 전당대회를 조기 개최해 새로운 당 대표 등 지도부를 신속히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어수선해진 당내 분위기를 수습하기 위해선 실무형 비대위를 구성하는 등 현행 체제를 연장하고 상황을 안정시키는 게 급선무라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정권 심판론`과 `이재명·조국 심판론`을 내건 혐오 선거로 192석 대 108석으로 여당이 참패하면서 윤석열정부 심판론이 총선의 민심으로 나타난 것이다.
21대 국회보다 더 강한 야당을 상대해야 하는 윤 대통령으로서는 국정기조를 전면적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게 됐다.
야당의 협조 없이는 남은 3년 임기 동안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총선에서 야권은 공천에서부터 선거운동까지 최악의 모습을 보였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당 장악을 위한 `비명횡사·친명횡재` 공천을 강행했다. 막말과 부동산 투기를 일삼은 부적격 인사를 걸러내지도 못했다.
실패로 입증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고집해 위성정당이 다시 난립했고, 국가관이 의심스러운 인사들에게 국회 진입의 길을 내줬다.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도 선거에 뛰어든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반(反) 윤 대통령`만 강경하게 외치며 강성 지지층을 끌어모아 진영 갈등을 부추겼다.
그런데도 국민은 정권 심판에 나섰다.
정부여당의 잘못을 질책하는 표심이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을 훌쩍 뛰어넘었다.
"뽑을 사람이 없다"는 정치 불신과 혐오를 극복하고 67%라는 32년만의 최고 투표율로 민심의 무서움을 보여줬다.
여야는 물론 대통령도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들고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
양극단의 혐오·갈등 정치에서 벗어나 통합과 화합으로 민생을 살피는 데 주력해야 한다.
윤 대통령은 야당과의 협치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으니 이재명 대표를 직접 만나고 야당에서 총리 추천을 받는 등 특단의 대책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민주당도 전체 의석수로는 대승했지만, 5.4%포인트만 더 득표한 만큼 `민생 야당` 역할이 중요하다.
저출생, 지역 소멸, 균형발전, 청년 실업, 기후위기, 일자리 문제와 양극화, 의료붕괴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여야는 이제 국민만 바라보고 민생에 전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