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월 10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에 관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5000년 한반도 역사에서 위기를 만든 것은 언제나 무책임하고 무능한 기득권이었지만 위기를 이겨내고 새 길을 연 것은 언제나 깨어 행동하는 국민들이었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를 비판하고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자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표는 "정치란 정치인이 하는 것 같지만 결국 국민이 한다"며 "더불어민주당은 더 낮은 자세로 정치의 사명인 `국민통합`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발언 이후 2개월이 흘렀다.  6일 현재 윤 전 대통령의 파면과 함께 이 대표는 차기 대선의 유력한 당선 후보로 평가받지만 국론 분열과 정치 양극화는 오히려 심화하고 있다.  극심한 갈등의 시작은 윤 전 대통령이 불러왔을지라도 이를 봉합하지 못한 건 결국 이 대표를 포함한 정치인들이다.  여야 의원들은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전까지 헌법재판소 등 사법을 정치화했고 시민들을 안심시키는 대신 광장에 앞장서서 대립을 이끌었다.  사법부를 믿지 못한 건 시민들이 아니었다.  이 대표의 지난 2월 연설에 나왔듯 정치인과 언론인 등으로 대표되는 `무책임하고 무능한 기득권`이었다.  국민통합 대신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한 나머지 또다시 5000년 한반도 역사에서 위기를 만든 장본인이 됐다.  우리는 교과서에서 정치에 대해 `공동체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해결하고 구성원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배운다.  본인 의견, 지지자의 입장과 다르다고 해도 그 생각을 존중하고 최대한 합의를 이끄는 것이 정치인의 역할이다. 민주주의 국가는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해야 한다.  다수의 의사결정이 우선되지만 소수 의견이 무시돼선 안 된다. 그사이 제대로 된 의견 교환이 없다면 다수결 원칙은 다수의 횡포에 불과할 뿐이다.  결국 국민이 바라는 건 하나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처럼 정치인들이 아닌 헌법에 따라 국민들의 뜻에 따라 운영되는 국가에 사는 것이다.  국민은 궁금해한다.  이 대표를 포함해 대권주자들이 국민의 뜻을 곡해한 윤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지, 진정 국민의 뜻을 받들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