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9일 오후 3시 포항교육지원청 3층 중회의실에서 포항시 고교평준화 제도와 관련한 언론 브리핑을 열었다. 고교평준화 제도는 추첨을 통해 중학교 졸업 예정자(또는 동등의 학력을 가진 자)를 지역 내 다수의 일반계 고등학교 중 특정 학교로 배정하는 제도이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포항 지역 고교평준화 논의의 경과, 포항의 전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고교평준화 유지 찬‧반 설문 조사 실시의 배경 등이 설명됐다. 경북교육청은 지난해 11월부터‘포항 평준화 제도 개선 TF 협의회’를 다섯 차례 열어 평준화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해 왔다. 또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영남대학교 연구팀에 의뢰해 포항 평준화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영남대 위탁 연구팀이 학생 513명, 교원 250명, 학부모 466명 총 1,2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포항 평준화 제도에 대해 ‘유지(25.6%)’,‘개선 후 유지(45.7%)’,‘폐지(14.6%)의 의견이 있었다. 포항교육지원청에서는 포항 지역 초․중․고 교장 회의 또한 열렸다. 평준화 제도에 대한 논의 현황을 공유하고 포항 지역 전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협조 요청이 있었다. 평준화 제도의 영향을 받는 당사자인 포항 지역 초․중․고 전체 학부모의 의사를 들어보는 설문조사 실시 주요 배경으로는 △내신 성적 반영 비중이 약화되는 2028년 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대비 △대구․경북 통합논의에 따른 지역 고등학교의 경쟁력 강화 △다른 지역 우수 학생 유입 감소 △2023년부터 포항 고교평준화 제도 개선에 대한 도의원들의 요구 △평준화 전형에 대한 지속적인 찬반 논란 등이 제시됐다.경북교육청은 이번 설문조사 내용을 향후 평준화 제도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평준화 제도에 대해 ‘유지’ 의견이 많으면 현행 평준화 제도의 보완책을 마련하고, ‘폐지’ 의견이 많을 경우, 공청회 등을 통해 추가 의견을 수렴해 정책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경쟁력 있고 따뜻한 포항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