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이 잦은 이달부터 내년 3월까지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시민건강 보호를 위해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한다.
시는 미세먼지 배출원별 저감대책과 국외 미세먼지 유입의 감소, 우호적인 기상 여건 등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대폭 개선되고 있다. 특히 계절관리제 시행 전(2018년 12월~2019년 3월)에 대비해 제5차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2023년 12월 ~ 2024년 3월) 초미세먼지 농도는 31㎍/㎥에서 20㎍/㎥으로 낮아져 역대 최저 농도를 달성했다.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핵심 배출원 감축·관리(산업·발전분야, 수송분야) △생활공간 집중관리(시민건강 보호분야, 농업·생활분야) 등 4개 분야 19개 추진과제를 집중 추진하게 된다.
(산업·발전)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과 자발적 협약을 체결(130개소)해 배출량 감축을 유도하고 굴뚝원격감시시스템(TMS)과 사물인터넷 측정기기(IoT)를 통해 사업장을 원격 감시하며 이동측정차량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미세먼지 불법 배출 의심 사업장을 집중 단속한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해 공공기관 실내 난방온도를 18℃ 이하로 제한한다.
(수송) 관리 기간에는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토·공휴일 제외)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을 제한하며 위반할 경우 1일 10만원 과태료가 부과된다. 다만 영업용, 수급자·차상위 계층 소유 차량, 소상인공인 차량은 이번 단속에서 제외된다.
또한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행정·공공기관은 차량 2부제를 실시한다.
(시민건강 보호)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지하역사, 대합실·승강장에 습식 청소를 강화하고 어린이집을 비롯한 다중이용시설 383개소의 환기설비·공기정화설비 적정 가동 여부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하며 민감·취약계층 이용시설 1521개소에 대해 실내공기질과 공기청정기 관리상태 등을 일제 점검한다.
(농업·생활) 도로 재비산먼지 제거를 위해 미세먼지 제거차량 111대를 일 2~3회 이상 운행해 도로 청소를 강화하고 공동주택 등 시민생활공간 60개소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숨 서비스` 운영한다.
또한 비산먼지 발생사업장은 방진덮개, 적재함 밀폐, 살수 등 비산먼지 억제 조치 이행 여부를 집중 단속한다.
농촌 지역의 불법 소각 방지를 위해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 기간을 운영하고 동력파쇄기를 대여해 영농잔재물을 경작지에서 파쇄·퇴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