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고 김천시가 후원하는 `제3회 전국 대학생 UAM 올림피아드`가 지난달 31일 김천 드론자격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대회에서는 본선 약 56개 팀, 232명의 국내 대학생들이 모여서 각각 6개 분야에 참여해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겨뤘다.
UAM(Urban Air Mobility)은 도심항공교통수단의 총칭을 말하며 관련기술 저변 확산과 차세대 미래항공교통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지난 2022년 경기도 화성에서의 1회 대회를 시작으로 김천드론자격센터에서 제3회 대회를 개최하게 됐다. 가장 기본적인`기체제작 및 비행` 분야를 시작으로 착륙장인 `버티포트 의 서비스 모델 설계` 등의 분야는 물론 UAM의 국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수용방안 아이디어`, `관련규제 혁신 아이디어` 분야도 포함돼 총 6개 분야에서 경연의 장이 펼쳐졌다.
이날 단연 화제를 모은 분야는 활주로에서 이뤄진 기체제작 및 비행분야였다. 실제 UAM의 축소된 모형기체가 한 번의 프로그래밍으로 이륙해 일정구간을 비행 후 다시 원래의 장소로 얼마나 정확하게 착륙을 하는지가 평가의 관건이었다. 풋풋한 대학생들의 아이디어로 제작했다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정확성을 자랑하는 기체도 있었지만 한 참가팀에서는 생각대로 비행이 되지 않아 보는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기체창작 분야에서는 `CNU_GAV(충남대)` 팀이, 버티포트 설계 분야에서는 `TEAM IAM(한양대)` 팀이 각 분야에서 최우수상인 국토교통부장관상을 차지하는 등 총 30여개 팀이 분야별로 수상했다.
금광수 기자kgs514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