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23일 구미시에 있는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에서 직업계고 55교 교육과정 담당자와 교육과정 지원단 23명, 고교학점제 거점학교 업무 담당자 5명 등 총 83명을 대상으로 `2022 개정교육과정` 편성 설명회를 실시했다.
이날 설명회는 `2022 개정교육과정` 편성과 고교학점제 운용에 대한 도 교육청 담당 장학사의 설명과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2022 개정교육과정`은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되며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과정으로 학생이 주도성을 가지고 언어·수리·디지털 소양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 교육을 통해 인격적 성장이 이뤄지는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중 직업계고 교육과정은 학과별 목표로 하는 인력양성 유형에 맞게 편성해야 한다.
관련 분야의 국가 산업과 인력 동향을 분석해 중장기 인력 수급 전망, 사업체와 종사자 수 등을 파악해 학교별 학과, 학교시설, 학생과 교사 현황의 내부 분석 후 학교에 적합한 인력양성 유형을 설정하고 적합한 보통교과, 전문공통, 전공 일반, 전공선택 과목들을 순차적으로 편성한다.
`2022 개정교육과정`은 기존 `2015 교육과정`에 있는 교과 영역이 폐지되고 교과군으로 재편되며 따로 편성됐던 한국사 과목이 사회과로 재편됐다.
또 미래 사회의 필수 교과인 `정보`는 교과군에 새 영역으로 편성됐고 고교학점제 시행과 맞물려 학기별 학점 이수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17개 교과군에서 `융복합·지식재산` 교과군이 새로이 편성되는 등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경북교육청은 직업계 고등학교에 새 교육과정이 잘 편성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과정 지원단`은 농업, 공업, 상업, 가사, 보건 등 다양한 계열의 도내 교육과정 전문 교사 23명으로 구성돼 각자 2~3교를 맡아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고교학점제 컨설팅도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교육과정 편성과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권역별 교육과정 편성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