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한적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2024 경북형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농산어촌 학교의 학생 수 감소와 소규모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정상 운영과 양질의 학습 경험을 통한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마련됐다.  경북교육청은 교육환경의 변화와 학교 현장 요구를 반영해 공동 수업 학교, 도농 상생 학교(급), 초-중 연계 학교, 원격 화상 수업 학급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3억2000여만원의 예산 투입으로 지역 특색에 맞는 다양한 경북형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첫째 공동 수업 학교는 `인근 지역 소규모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12년간 꾸준히 소규모학교 간 교육과정 협력 운영과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하고 있다.  중심학교와 협력 학교 간 공동 수업 연구협의체를 중심으로 공동 프로젝트 학습 운영, 체험활동 프로그램과 방과후학교 운영으로 소규모학교 교육과정의 정상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둘째 도농 상생 학교(급)는 `도시와 농산어촌 초등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지역 특색을 살린 체험활동 프로그램, 교류 활동 프로그램 등을 통한 공동 수업으로 상호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운영 모델을 개발한다.  셋째 초-중 연계 학교는 초-중학교 간 공동 수업과 체험활동 교육과정 연계 운영을 통해 학교급 간의 학습 환경 격차를 줄이고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12교가 연계해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넷째 원격 화상 수업 학급은 지역적·지리적 한계의 극복을 위해 화상 수업시스템 구축하고 수업 공유를 통해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으로 학습 내실화를 도모한다. 특히 지난해 20학급 운영으로 시작된 `전남 학급과의 원격 화상 수업`은 올해 32학급(경북 16학급, 전남 16학급)으로 확대 운영한다.  `경북-전남 간 원격 화상 수업`은 경북의 교실과 전남도의 교실을 지역을 넘어 온라인으로 연결하고 같은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영호남 지역 문화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특히 지난해 20학급 운영으로 시작된`전남 학급과의 원격 화상 수업`은 올해 32학급(경북 16학급, 전남 16학급)으로 확대 운영한다.  `경북-전남 간 원격 화상 수업`은 경북의 교실과 전라남도의 교실을 지역을 넘어 온라인으로 연결하고 같은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서로 협력해 함께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영호남 지역 문화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