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고령화와 극심한 수도권 집중으로 지방소멸 위기가 닥치면서 다문화정책 지원 및 맞춤형 외국인 정책 도입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다문화평화연합은 지난 1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다문화 정책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손병호 한국다문화평화연합 회장은 "다문화가정은 한국사회가 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인 저출산,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 청신호를 주고 있다"며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인, 다문화 가정은 한국사회의 저출산 문제해결에 희망의 빛을 던져 줌으로써 한국의 미래가 있도록 만드는 애국자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인 모두가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국민운동"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다문화 운동의 효율성을 다방면에서 높이는 큰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송광석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국협회장은"다문화가정은 앞으로 한국의 경제 발전만이 아니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라며"앞서 가정연합이 실천해온 국제축복결혼은 단순히 한 남녀의 만남을 넘어 국가의 장벽을 넘어서는 중요한 역할까지 담당해 왔다는 점에서 인류의 화합과 공동번영을 견인하는 민간외교관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세미나를 통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한국사회 인식 개선과, 다문화지원정책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같은 날 부산에서 열린 `제59차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임시총회`에 참석한 16개 시·도지사·부도지사들은 지역 맞춤형 외국인 정책 도입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뒤 정부에 이와 관련한 범부처 차원의 전담 조직 신설을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출생·고령화와 극심한 수도권 집중으로 지방소멸의 사면초가 상황에 처한 지자체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정책으로 외국인 유치 외에 달리 선택할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다.    절박함에서 나온 제안인 만큼 앞으로 전향적인 논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현재 정부는 외국인 유치 관련 몇몇 정책을 이미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에 걸친 일률적인 적용으로 각 지역의 다양한 실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이번에 열린 시도지사협의회 임시총회는 이러한 단점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일률적으로 시행 중인 정책이 지역 맞춤형으로 업그레이드되면 정책 효과도 더 광범위하고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외국인 유치의 핵심인 비자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지적에는 정부가 하루빨리 지자체와 협의해 개선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지방소멸에 처한 지자체 대부분이 `지역특화형 비자`를 통해 인구 문제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현실을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