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5일 대구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 매개모기로 알려진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를 위해 지난 4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주 2회 동구 금강로 소재 우사에 유문등(誘蚊燈, 모기 유인등)을 설치 가동해 채집 모기 종별 밀도조사와 일본뇌염 등 모기매개 감염병 원인 바이러스 유무를 조사해 오고 있으며 5일 채집된 모기 중에서 `작은빨간집모기`를 올해 처음으로 확인했다.  대구 지역에서는 지난해 5월 12일, 2021년 6월 3일, 2020년 6월 4일에 작은빨간집모기가 첫 채집됐으며 올해 3월 23일 부산과 제주 지역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첫 확인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일본뇌염 주의보`를 질병관리청에서 발령했다.  일본뇌염은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감염병이며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극히 일부에서 뇌염으로 진행되며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은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  고복실 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우리 대구 지역에서 올해 처음 확인됨에 따라 가정에서는 방충망이나 모기장을 설치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라며 "더불어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야외 활동 대구시에는 긴 옷을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며 집주변의 웅덩이를 제거해 모기 유충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주변 환경관리에도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종환 기자jota123@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