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최근 인상된 냉난방비 절감과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확충에 앞장서고 있다.
3일 경주시에 따르면 올해 38억6500만원 예산을 들여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279곳) △신재생에너지 주택·건물지원(246곳) △취약계층에너지 복지사업(308곳) 등 3개 사업을 추진한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주택과 건물 등이 혼재된 지역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2종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원을 설치해 전기와 열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사업지역은 건천, 서면, 현곡, 감포, 문무대왕, 양남 등의 지역에 우선 설치하며 내년도 공모사업을 통해 안강, 강동, 천북 등 3개 읍면을 대상지역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주민들은 지난해 태양광 발전설비(3㎾) 기준 총사업비 592만원 중 104만원(17.6%) 정도를 자부담하며 전기 사용량에 따라 연간 50만원에서 100만원까지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주택·건물지원사업은 단독주택, 복지회관, 경로당 등에 자가소비 목적의 태양광, 지열 등의 신재생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사업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택지원사업(226곳)은 지난해 기준 3㎾ 태양광 설치에 따른 가구당 총설치비용은 516만원이며 그 중 자부담금은 155만원(30%) 정도된다. 월 400㎾ 사용 가구 기준으로 연간 60만원 정도 전기요금이 절약된다.
건물지원사업(20곳)은 지역 복지회관, 경로당, 향토뿌리 중소기업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 지난해 건물당 3㎾ 태양광 설치기준으로 총설치비는 약 600만원이며 자부담은 없다. 단 태양열 기기 설치 시 건조기에 한해 자부담이 발생한다.
주택·건물지원사업은 오는 5월~6월 경 사업공고를 통해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사업은 취약계층 가구 또는 사회복지시설의 조명기기를 고효율 LED 조명으로 교체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력 소비를 최대 50%까지 낮출 수 있어 에너지 절약과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한번에 달성할 수 있다.
이 사업은 외동지역 저소득 300가구와 지역 복지시설 8곳을 대상으로 오는 상반기 내 대상 가구·시설을 선정한 후 오는 7월 착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주낙영 시장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원사업을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기 및 난방요금을 절감하는 등 에너지복지를 실현하고 탄소중립 자족도시 구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시는 지난해 주택·건물 지원사업 119곳, 취약계층에너지 복지사업에 221곳을 지원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