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 발표와 한일 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양국 관계 개선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그간 우리나라에 비판적이었던 일본 우익들의 기류도 변화하고 있다.  재외공관장회의 참석차 일시 귀국한 윤덕민 주일본대사는 27일 오후 외교부 출입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해 7월 (대사로) 부임했을 땐 `한일 관계가 이렇게 악화될 수도 있구나`, `최악이란 게 이런 거구나`라고 체험할 정도였다"며 "(그러나 최근엔) 일본 내 지식인 사회는 둘째 치고 우익들의 입장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사는 특히 "일본 우익 중 안보 문제를 중시하는 측에선 `한국과 협력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 국내 여론 악화 등 부담에도 불구하고 "경색된 한일 관계를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는 판단에서 이달 6일 양국 간 최대 갈등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배상 문제에 관한 해법을 선제적으로 제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후 이달 16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와 정상회담을 통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한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 복원과 정부 당국 간 각종 협의체 재가동 등에 합의하면서 그간 `조건부 종료 유예` 상태에 있었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완전 정상화도 선언했다.  이와 관련 윤 대사는 그간 우리나라에 비판적이었던 일본 내 보수 성향 매체들의 논조도 "최근엔 한일 협력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윤 대사는 일본 우익 중에서도 이른바 `역사 정체성`을 강조하는 쪽에선 여전히 우리나라에 대한 보수적·비판적 시각을 유지하고 있지만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정권이 좀 더 소신을 갖고 한일 관계 문제를 진행해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게 아닌가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대사는 우리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에 대해선 "상당한 어려움 속에서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과 2018년 대법원의 (피해배상) 판결 양쪽을 정부가 다 존중해가면서 해결책을 찾은 `고육지책`(苦肉之策)"이라고도 말했다.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은 `제3자 변제` 즉 일본 기업 대신 우리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서 민간 기업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배상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그간 배상금 지급에 난색을 표시해 온 일본 측의 법적 부담을 덜어주는 대신 이 문제 해결을 일본 측의 자발적인 `호응`을 유도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 같은 해법을 내놨다.  윤 대사는 기시다 총리가 앞서 16일 윤 대통령과의 회담 뒤 공동회견에서 "일본 정부는 지난 1998년 10월 발표한 `한일 공동선언`(김대중-오부치(小淵) 선언)을 포함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힌 데에 대해서도 의미 부여했다.  윤 대사는 "기시다 총리가 `김대중-오부치 선언`, `간 나오토(菅直人) 담화` 등의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와 같은 표현을 직접 인용하진 않았지만 전체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했다"며 "이는 그것이 지켜지지 않았던 한일 관계가 지켜지는 관계로 복원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정상화되는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모든 문제를 해결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이제 문제 해결을 위한 첫 행보는 시작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