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22일 시청 상황실에서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올해 `구미시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방주문 구미시 미래도시기획실장은 시청 출입 기자 및 시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구미시 인구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기자들과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구미시는 민선8기 출범 이후부터 인구감소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구 회복을 모든 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2월 청년의 권익증진과 사회참여 확대를 위해 구미시 청년 기본 조례를 전면 개정한 바 있으며 올해 1월에는 시청 인구청년과 신설과 구미시 인구 증가 시책 지원 조례를 마련해 인구위기 관리를 위한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모든 정책을 인구와 관련한 관점에서 재검토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참신한 과제를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전 부서를 대상으로 70여건의 신규 사업을 발굴했다.  이를 구체화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달까지 4차례의 대책 보고회를 갖고 구미시 인구정책위원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구미시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시는 혁신과 변화를 통해 구미를 미래세대 중심도시로 재창조하고 미래 사회 준비 및 인구대응 행정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브리핑에서 방주문 실장은 "올해를 41만 인구 회복 원년의 해로 만들겠다"며 `미래 사회 준비, 구미 재창조`를 인구정책 비전으로 제시했다.  구미시는 △인구 감소세 완화와 V턴 반등을 위한 도시 재창조 프로젝트 △생활인구 확대와 미래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을 위한 미래 사회 준비 프로젝트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인구대응 행정혁신 프로젝트 등 3대 프로젝트와 5대 전략, 14대 중점 분야를 선정하고 총 130여건의 세부사업에 130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시는 인구정책 기본계획에 담긴 주요 사업들의 추진 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명품 정책으로 발전시키고 또한 이를 통해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선도한다.  이날 본지 기자는 "인구감소 위기는 구미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인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동안 구미는 젊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청년정책보다 노인에 대한 정책, 복지, 지원에 대한 비중이 높은 편"이라며 "방주문 실장이 구미시에서 근무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구미시 인구 감소의 근본적인 원인 및 진단을 어떻게 하고 있나?"라고 질의했다.  이에 방주문 실장은 "구미시는 투자도 중요하지만 최종 목표를 인구 정책이라는 방향으로 설정해 기업 유치하고 아울러 도·농 복합도시라는 명성에 걸맞게 농촌에 대한 지원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며 "퇴직 후 기업체에 계신 분들이 떠나지 않고 구미에서 살 수 있도록 정책을 펼치겠다. 딱 이것으로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종합적이고 아주 복합적"이라고 말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