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8일 25개 시군 보건소장, 보건행정담당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보건정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2월 20일 심의한 제8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홍남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의 발표 및 토론과 2023년도 주요 보건시책 공유로 포스트 코로나 이후 새로운 보건의료 수요에 대한 보건소의 역할 변화에 대해 활발히 논의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은 4년마다 수립하는 중장기 계획이며 지역사회 현황 분석으로 걷기 실천율, 흡연율, 암 검진율 등의 건강지표를 경북도의 주요과제로 도출, 지역주민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보건소 건강생활 실천사업에 주력하기로 했다.  올해 경북도 보건정책의 주요 시책으로 △저출산·인구소멸에 따른 임신·출산 지원 정책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에 따른 AI·IoT기반 건강증진사업 △포스트 코로나 이후 복지 틀의 대전환으로 K-외로움 대책의 주요사업인 대화기부운동, 청년고민상담소 등 정신건강증진사업 등이 있다.    농어촌 지역 의료 근간인 공중보건의가 해마다 줄고 있는 가운데 특히 의과 출신 공보의가 급감하고 있으며 올해 복무 만료자에 비해 신규배치가 전국적으로 감소해 경북도 역시 배치인원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공중보건의가 2개 이상 보건지소를 방문하는 순회 진료를 확대하고 의료취약지의 독거노인,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진료하는 `찾아가는 행복병원` 운영 확대 등 의료공백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김진현 도 복지건강국장은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의 자치역량 강화로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와 지역특성 및 맞춤형 보건-복지 연계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자"라고 당부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