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불안감을 호소하는 청년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경북에서 꿈을 이루고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2021 경북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청년의 삶을 지원하는 종합 패키지라고 할 수 있는 시행계획은 `청년이 머무는 행복한 경북`을 목표로 청년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 사업수로는 광역자치단체 중 최다인 148개 사업으로 구성돼 국비 포함 총 2658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분야별로 보면 △청년 일자리 분야 76개 사업 △주거 분야 5개 사업 △교육 분야 26개 사업 △복지문화 분야 21개 사업, △참여권리 분야 20개 사업 등이다.  `청년 일자리 분야`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취업 절벽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일자리 등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비롯해 다양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통해 청년일자리 4000여 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해 예비창업-초기창업패키지-청년CEO심화육성-재도약 지원으로 연계되는 청년창업 원스톱 지원체제 구축과 함께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알찬 사업들을 통해 1800여명의 창업도 지원할 예정이다.  `주거 분야` 주요 사업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신혼부부 950세대의 전세 임차보증금 이자를 2년간 지원하며,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의 월세도 일부 지원한다. 또한 유입 청년을 위한 농촌 보금자리, 청년행복주택 등 공동임대 주택 보급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청년의 교육비 부담완화를 위해 대학생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1500명)과 지자체-대학간 협업을 통한 지역혁신 인재양성 사업, 청년발전소 등이 운영된다. 특히 청년발전소는 청년들의 선호도를 반영한 웹툰, 콘텐츠 교육 지원과 코로나 블루 완화 등 청년의 심리적 안정과 청년주도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복지문화 분야`의 주요 사업으로는 청년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보호종료 청년 420명의 자립 지원, 청년 한부모 자녀양육비 지원 등 청소년 한부모, 결혼 이민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또한 청년 근로자 1260명에게 문화 건강증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100만 원의 포인트도 지급한다.  `참여권리 분야`에는 청년 주도형 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도에서 운영하는 각종 위원회의 청년위원 참여 확대, 지역 공간 재생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정착을 지원하는 청년자립마을 만들기 사업, 청년 공동체 활동비 지원 등 다양한 청년활동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도에서는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도 17개 실국과 연구기관 및 청년정책참여단 등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추진단(TF)을 구성해 도 시행계획에 포함된 148개 사업 추진과 270여개의 정부 과제에 대한 공모 참여, 국비 확보 및 연계 사업 발굴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철우 지사는 "청년 눈높이에 맞는 정책 발굴과 시행에 역량을 집중하고 청년이 머물고 행복한 경북을 만드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