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일부터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했다. 첫 대상은 75세 이상 어르신(194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으로 1일 49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이 시작된다.  접종에는 오는 6월까지 총 350만명분 공급 예정된 개별계약 화이자 백신이 사용된다.  우선 지난달 24일 도입된 1차 물량(25만명분)이 국가출하승인을 마치고 30일 예방접종센터로 공급했다.  아울러 노인시설(주거복지, 주·야간, 단기보호) 입소·이용자 및 종사자(연령 무관)에 대한 접종도 지역별 예방접종센터에서 동시에 실시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75세 이상 어르신 및 노인시설에 대해 예방접종 대상자조사를 실시하고 대상자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  75세 이상 어르신 약 351만명 중 204만명(58.2%)에 대해 조사를 완료한 가운데 이 중 동의율은 86.1%(176만명)를 기록했다. 351만명은 전체 약 364만명 중 요양병원·시설, 노인시설 입소·이용자 등 중복 대상자를 제외한 규모다.  노인시설은 약 15.5만명의 접종 대상자 중 9.7만명(62.7%)에 대한 조사가 완료됐으며 이 중 9만명(93.2%)이 접종에 동의했다.  각 지자체는 센터 접종에 동의한 어르신에게 전화 안내,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지정된 일시에 방문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 접종일시를 확정할 예정이다.  접종대상자 조사 시 `국민비서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는 접종일정 및 장소, 유의사항 등 정보를 모바일 앱(네이버앱·카카오톡·토스)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편리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아울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고령의 접종 대상자가 예방접종센터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이 불편한 지역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편의성을 높이거나 공공차량·전세버스 배차 등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지자체(인천·경기·경남·전남·전북·충남·제주) 및 국방부와 공동으로 도서지역 거주 어르신들에 대한 별도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또 65∼74세 일반인은 오는 6월 중 예방접종을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75세 이상은 화이자 백신, 65∼74세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사용할 예정이다.  65세 이상 노인들은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다. 고령자 접종이 완료되면 확진자가 하루 1000명, 2000명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사망자는 대폭 감소할 수 있다.  현재 코로나19 연령별 사망률은 이날 0시 기준 80세 이상 20.34%(959명), 70대 6.39%(483명), 60대 1.25%(198명), 50대 0.31%(58명), 40대 0.09%(14명), 30대 0.05%(7명), 20대 0.02%(3명) 순을 기록하고 있다.  고령층 예방접종이 끝날 때까지 코로나19 상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방역당국의 가장 중요한 임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