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달 31일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에이치에너지, ㈜포스코, 경북우리집RE100 협동조합, 포항공과대학교, ㈜피엠그로우와 `도민주도형 그린뉴딜 플랫폼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경북도는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인 신재생에너지 확대·전환과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 공유형 태양광·에너지 프로슈머·오픈 빅데이터 센터·전력 플랫폼 구축을 통해 그린뉴딜 실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이번 협약을 추진했다.  △경북도는 공유태양광 구축 관련 인허가 등 행정을 지원하고 △㈜에이치에너지는 도민주도형 공유태양광과 그린뉴딜 플랫폼을 구축하며 △포스코는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및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경북우리집RE100 협동조합은 실제 공유태양광을 운영하면서 에너지 복지와 관련된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포항공과대학교는 전력데이터 수집·공유·공동연구를 △피엠그로우는 플랫폼과 결합한 전기차충전서비스 상품 등 에너지 신사업을 발굴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추진되는 사업은 향후 2030년까지 경북도내 100㎽, 1700억원 규모의 소규모 공유태양광을 순수 도민 자본으로 구축하고 발전수익 전액을 지역의 참여자가 나눠 가지는 구조로 지난해 경북도가 정부 공모사업으로 구축했던 `우리집RE100 전력플랫폼`을 활용한 성공확산 모델을 창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리집RE100`이란 가정에서 쓰는 전기를 100%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의미로 경북도가 지난 2020년 정부 공모사업을 진행하면서 전국 최초로 사용했으며 이 사업에서 전력거래 플랫폼이 구축돼 옥상 발굴, 발전설비 설치, 전력거래 중개, 전기료 정산·청구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의 틀이 마련돼 도민 누구나 공유형 태양광 발전 사업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 태양광 전력거래 플랫폼 서비스`가 올해 초 산업부 실증특례에 선정되면서 현행 전기사업법은 발전사업자와 판매사업자 겸업을 허용하지 않지만 본 사업에서 `경북RE100 협동조합`은 국내 최초로 둘 다 가능해 조합원은 본인이 공유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만큼 차감하고 나머지 요금을 한전에 지불할 수 있어 주택용 누진제 요금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기존 태양광 발전사업자도 플랫폼에 가입하면 24시간 모니터링·안전관리·전력거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조합 수익금의 일부는 도내 에너지 빈곤층을 지원해 에너지복지에도 기여하게 된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