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정치인과 고위공직자 165명 가운데 50명(30.3%)이 직계존비속(부모·조부모·증조부모·아들·딸·손자 등)의 재산등록 고지를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대구지부와 대구참여연대가 운영 중인 `부동산투기 긴급대응팀`이 내놓은 대구 공직자 재산등록 현황에 따르면 국회의원, 시장, 부시장, 기초단체장, 시·구의원 등 165명 가운데 50명이 직계존비속의 재산등록 고지를 거부했다.  국회의원 중 주호영 의원이 모친의 재산등록 고지를 거부했고 추경호 의원은 모친·장녀·차녀의 재산등록 고지를 거부했다.  홍준표 의원과 곽상도 의원은 각각 장남·차남·손녀, 장남의 재산등록 고지를 하지 않았다.  고위공무원 중에는 채홍호 행정부시장이 장남, 홍의락 경제부시장이 모친의 고지를 거부했다.  시의원 30명 중에는 김대현·김성태·김재우·김태원·김혜정·박갑상·배지숙·이영애·이태손·전경원·정천락 의원 등 11명이 고지를 거부했다.  기초단체장 8명 중에서는 배기철 동구청장, 류한국 서구청장, 조재구 남구청장, 배광식 북구청장, 이태훈 달서구청장, 김문오 달성군수 등 6명이 장남 등의 재산 고지를 하지 않았다.  구·군 의원 중에서는 박재형 달서구의원, 안대국 달서구의원, 이대곤 달성군의원 등 27명이 고지를 거부했다.  달서구의원이 8명으로 가장 많고 수성구의원 7명 등의 순이다.  고지 거부 사유로는 대부분 타인 부양, 결혼, 독립 생계 유지 등을 들었다.  부동산투기 긴급대응팀은 대구 정치인 등에 대해 자발적으로 직계존비속까지 빠짐 없이 부동산 현황을 공개할 것을 촉구하고 지역 여·야 시당에 대해서는 "지방의원들의 재산과 부동산 전수조사를 진행하라"고 주장했다.  대구참여연대 관계자는 "상당수 지역 정치인들이 직계존비속의 재산등록 고지를 거부한 것은 위법은 아니지만 부동산 투기로 국민적 공분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들 보기에 달갑지 않다"며 "누구보다 개발 정보에 가까이 있는 정치인과 그 가족이라면 고지거부라는 권리행사보다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알리는 게 낫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의당 대구시당은 30일 오전 11시 시청 앞에서 선출직 공직자의 농지 소유 실태와 농지법 위반 등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이종환 기자jota123@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