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선 경북도의원(포항5, 국민의힘)은 2026년 경북도 본예산 편성을 앞두고, 포항시민을 대상으로 정책 여론조사를 했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에 의뢰해 시민의 시각에서 예산의 방향과 정책 우선순위를 명확히 확인하고 이를 경북도 본예산에 실질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진행됐으며, 포항시 거주 만 19세 이상 시민 604명이 응답에 참여했다. 조사 방식은 무선(84%)과 유선(16%) ARS 혼합 방식으로 진행됐고,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0% p이다. 조사 결과, 포항시민들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지역 정책과제로 전체 응답자의 42.0%가 ‘지역경제 활성화’라고 답했다. 이어서 ‘청년 일자리 확대’ (17.7%), ‘문화체육 및 관광 활성화’(9.9%)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는 최근 대내외 경기 침체와 청년 인구 유출 문제, 관광산업의 확장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기대감이 고루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포항의 전략 산업 중 어떤 분야에 집중 육성이 필요한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이차전지·배터리 산업’이 3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바이오·의료산업’(17.1%)과 ‘AI·디지털 산업’(16.4%)도 고르게 선택되며, 포항시민들은 산업의 고도화와 다변화에 기대를 걸고 있음을 보여줬다. 교육 분야에서는 ‘포스텍 의대 설립 등 고등교육 육성’이 전체 응답의 38.5%로 압도적 선택을 받았다. 이는 단순한 대학 설립의 차원을 넘어, 지역 내 의료 인프라 확충, 고급 인재 유입, 지역 정주 환경 개선 등 복합적 효과에 대한 시민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관광과 문화 분야에서는 ‘해양 레포츠 기반 인프라 확충’(23.9%)과 ‘축제 및 콘텐츠 개발’(20.9%)에 이어 ‘지역 역사 자원의 관광 자산화’(20.5%)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특히 연령대별로는 20~40대에서 축제와 콘텐츠, 50대 이상에서는 역사 문화형 관광에 대한 수요가 높아 정책설계 시 세대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아동·청소년 복지’(29.1%)와 ‘아이·노인 돌봄서비스 강화’(21.2%)가 전체의 절반을 넘는 응답을 얻었다. 특히 청년층과 40대 이하 응답자는 방과 후 돌봄, 청소년 문화공간 조성 등 교육복지 연계 수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박 도의원에 대한 응답에서는 ‘투명하고 청렴한 의정활동’(22.9%)과 ‘교육·복지·생활밀착형 정책 추진’(20.5%), ‘지역 현안 해결 노력’(19.9%)을 꼽았다. 박용선 도의원은 “정치는 법보다 예산이 먼저 작동해야 시민의 삶을 바꿀 수 있는 만큼, 현장의 요구를 실질적 재정정책으로 연결하는 것이 지방의원의 책무라 생각한다”라고 강조하고 “이번 조사 결과는 도의회 예결산특별위원회, 상임위원회, 본회의에서 실질적 증거 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