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이 지난해 수거한 해양쓰레기의 양이 무려 435t에 달했다고 한다. 대부분 폐어망과 부표 등 어업 관련 쓰레기지만 태풍 등으로 떠밀려온 육지 쓰레기 중에는 중국어나 일본어가 적힌 외국 쓰레기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울릉도는 청정 자연환경을 간직한 섬이지만 해마다 밀려드는 해양쓰레기 탓에 환경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해양쓰레기가 울릉도 해양심층수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해양심층수는 울릉 주민들의 소중한 식수원이자 산업자원으로 활용되는데 부표나 폐그물 등이 심층수 배관을 훼손할 경우 식수 안정성마저 위협받게 된다.
실제로 태풍 등으로 인해 떠내려오는 쓰레기는 해류를 타고 먼 거리를 이동하기에 울릉도 앞바다가 결코 안전지대가 아니다.
더불어 해마다 북한 수역으로 진출하기 위해 동해로 북상하는 중국 어선들 역시 심각한 위험 요소로 꼽힌다. 이들 어선은 태풍이나 기상 악화 시 울릉도 연안으로 피항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닻을 내리다가 심층수 배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높다. 지난해에만 동해로 북상한 중국 어선이 247척에 달했다고 하니 이런 우려가 단순한 기우로만 치부할 일은 아니다.
울릉군은 외국 쓰레기의 유입이 늘고 있으며 외국 선박의 무단 배출 행위를 강력히 단속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단속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보다 근본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해양쓰레기는 바다의 특성상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드는 복합적 문제로 국제적 협력이 절실하다.
정부는 중국, 일본 등 인접국들과의 외교 채널을 적극 가동해 해양쓰레기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국제 협약이나 양자 간 합의를 통해 해양쓰레기 투기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동시에 울릉도 해양심층수 배관을 포함한 중요 시설물 보호 대책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 배관을 더 깊고 안전한 위치로 옮기거나 외부 충격을 막을 수 있는 보호구조물 설치, 심층수 취수구역의 안전장치 강화 등 실질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중국 어선 피항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피항 선박에 대한 위치 추적과 상시 모니터링 체계도 강화해야 한다.
아름다운 울릉도의 바다를 지키는 일은 단순한 환경보호를 넘어 주민의 생존권과 식수, 지역경제를 지키는 문제다. 정부와 울릉군은 하루빨리 실효성 있는 종합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바다를 방치하면 결국 인간도 그 피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지금의 무관심과 안일함이 언젠가는 우리의 식수원과 삶을 송두리째 위협하는 재앙으로 되돌아올 수 있음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이제는 말이 아닌 행동이 필요한 때다. 정부, 지자체, 국제사회 모두가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