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기준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 연계 취업지원 인원이 6098명으로 당초 목표인원(6000명/연간 1만2000명 목표)을 초과 달성했다. 여성고용률도 지난 6월말 기준 50.0%로 코로나19 이전 수준(49.9%) 이상으로 회복하고 있으며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2.9%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대구지역 여성고용률은 연초 대비 4.3%p 상승(1월 45.7%→ 6월 50.0%)했고 여성취업자 수는 4만7000명 증가(1월 49만3000명→ 6월 54만명),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3.4%p 상승(1월 48.8%→ 6월 52.2%)하는 등 여성 고용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여성고용률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폭이 전국 평균을 2배 이상 상회하고 지난 6월 상승률은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지역 여성고용시장의 상승세는 전국 최초로 시행한 대구시 코로나19 극복 공공일자리 사업 확대와 소비경기 및 수출·입 지수 등 경제지표가 호전되고 새일센터에서도 여성취업지원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강화에 매진해 온 데 따른 성과로 분석된다.
먼저 지역기업의 고용 부담 완화와 기업 경영 개선을 위해 여성 인턴 지원규모를 대폭 확대해 올해 목표인원 440명 중 상반기에 404명의 인턴을 기업과 연계했고 국비(여성가족부)를 전액 지원하는 경력단절여성 대상 직업교육훈련은 역대 최대 규모로 38개 과정 중 30개 과정을 완료해 현재 취업 연계 중이다.
또한 지역특화사업인 찾아가는 굿잡버스(카페)는 상반기 10회 추진해 98개 기업 267명이 취업에 성공했거나 취업 예정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성과를 창출했으며 경력 단절 예방사업과 경력이음 사례관리 서비스 지원 등도 확대해 취업연계, 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경력단절여성 취업 연계인원이 상반기 기준 6098명으로 올해 목표 1만2000명을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1만1598명)에 이어 올해도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올해 여성고용위기 조기 극복을 위한 특별 대책으로 신규 추진하는 지역 맞춤형 특화사업은 전액 시비사업으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와 협업하는 디지털기술 분야 여성창업 교육훈련과정을 상반기에 완료해 사업화 지원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일자리 유관단체 및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여성일자리정책협의회는 지난 4월 13명의 위원으로 발족해 지역 맞춤형 여성적합 일자리 발굴·정책 반영 등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민·관이 함께 협력하고 있다.
또한 예비 및 새내기 여성창업자의 참신한 창업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올해 처음 개최하는 제1회 대구여성 창업스타전은 현재 창업아이템을 공모 중이며 우수팀 선정시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창업 기반도 제공할 예정이다.
취업자 고용유지 현황 조사 및 모니터링 사업은 취업 탈락자 대상 설문조사가 완료되면 장기 고용 유지를 위한 방안 마련과 교육훈련 및 취업 연계 등을 본격 추진할 계획으로 올해 새로이 추진하는 지역맞춤형 특화사업의 성과는 하반기 이후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