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가 알뜰폰 회원수를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10~15% 수준으로 올린다는 발표가 있자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2.5%에 불과하던 알뜰폰 가입율이 8% 수준까지 껑충 오르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처럼 알뜰폰이 인기를 끌자 대기업통신사들이 너도나도 이들 시장을 넘보고 있는 것이다.알뜰폰 사업자들은 기존 통신사의 망을 빌려 사용하기 때문에 투자비가 적게 들어 휴대전화 요금이 기존 통신사의 절반 수준이다.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하지만 대기업들이 이 시장을 넘보고 있다고 하니 이는 곧 그들이 이 시장의 이익을 빼앗아 독식하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돈이 된다면 물불 가리지 않는 재벌 특유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과 다를 게 없다.통신 3사가 알뜰폰 시장을 노리는 것은 신규 가입자 확보가 한계에 달한 반면 알뜰폰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LG유플러스와 KT, SK텔레콤도 사업신청을 내거나 일찌감치 사업을 시작해 통신 3사의 알뜰폰 사업은 기정사실화 될 분위기다.그러나 통신 대기업의 알뜰폰 사업은 당초 정부의 사업 취지와도 정면으로 배치된다는데 있다. 알뜰폰은 통신 3사의 독과점 구조를 깨 요금경쟁을 유도하겠다는 게 기본 취지다. 거대 통신사가 사업에 참여할 경우 중소업체는 경쟁은 커녕 생존 자체가 어렵다. 이마트나 CJ, 우체국도 알뜰폰 사업을 하고 있지만 망을 가지고 있는 통신사들과는 갑을 관계가 상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알뜰폰 시장이 무너질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때문에 통신 3사의 알뜰폰 사업 진출은 결국 현재의 통신시장 독과점 구조를 고착화하겠다는 의도로 볼 수밖에 없어 알뜰폰 시장을 송두리째 망가뜨리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당국은 서둘러 장치마련을 해야한다.당초 사업 취지를 살려 경쟁을 통한 요금인하 혜택이 소비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차제에 통신 대기업이 알뜰폰 시장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도록 법적인 안전장치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아울러 턱없이 비싼 가계통신비 인하도 내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