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0일 의성군 산란계 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2024년 동절기 도내 가금농장 첫 의사환축 발생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확진될 경우 지난 12월 3일 전남 고흥 육용오리 발생 이후 38일 만에 29번째 발생이 된다.  해당 농장은 산란계 36만4000수를 사육하는 농가로 지난 9일 농장주가 폐사 증가로 의성군에 신고했으며 신고 접수 즉시 경북도에서는 동물위생시험소 가축방역관을 현장에 파견해 임상검사 및 시료 채취를 진행했고 정밀검사 결과 H5형 항원이 검출됐다.  경북도에서는 의사환축 발생 직후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초동방역팀을 투입시켜 발생농장에 출입하는 사람, 차량 등을 전면 통제하고 있으며 해당 농장의 가금에 대해 긴급 살처분을 진행하고 초동 역학조사, 방역대 이동제한 및 긴급 전화예찰 등 선제적인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고병원성 여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인검사가 진행되며 최종 판정까지는 1~2일 정도 소요된다.  지난 9일 기준 전국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은 가금농장 28건, 야생조류 12건이며 도내에서는 구미 지산샛강 야생조류에서 7건이 검출된 바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두 가지 유형(H5N1, H5N6)의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 중이며 H5N6형은 지난 2017~2018년 이후 4년 만이다.  지난해 신규 유입된 H5N6 바이러스 감염시 닭은 침울, 사료섭취 감소 등 임상증상 발현 후 폐사가 나타나고 오리는 사료섭취 감소, 침울, 녹변, 호흡기 증상과 함께 폐사가 관찰되는데 폐사율이 낮더라도 세심한 임상 관찰이 필요하다.  김주령 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발생농장에 대한 긴급 방역조치와 산란계 농장 예찰 강화로 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가금농장에서는 농장에 이미 바이러스가 침투해 있다고 생각하고 축사 내 유입 방지를 위해 집중 소독과 차단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경미한 임상증상이어도 시·군 또는 동물위생시험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주수 군수는 "사육 중인 가금에서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등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 주요 증상뿐만 아니라 경미한 증상이 확인돼도 즉시 신고해 달라"라며 "의성군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차단을 위해 가용한 소독 자원을 총동원해 방역에 힘을 쏟을 것이며 이에 가금농장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 차단을 위해 농장 방역 수칙을 준수하고 축사 내외부 소독에 철저를 기해줄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정성수 기자power5151@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