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소방에서는 11월을 `불조심 강조의 달`로 지정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일교차가 커지고 화기(火器) 사용의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여타의 계절에 비해 화재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방안전교육, 화재 예방 공모전, 집중적인 캠페인을 해 시민에게 불조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화재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서 노력한다.  `불조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창을 베고 자면서 아침을 기다린다`라는 침과대단(枕戈待旦)의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가정에서는 전기매트 등 난방용품을 사용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기히터 경우 주변의 수건이나 옷 등을 말린다고 널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전기히터의 강한 복사열은 수건이나 소파 같은 가연상 물질에 직접 닿지 않고 가까이 있는 것만으로도 쉽게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히터를 사용할 때는 가연물을 주변에 방치하지 말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도록 한다.  전기매트는 적정온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온도를 낮추고 장판 위에 이불 등을 장시간 깔아놓지 않도록 한다.  사용 후 보관할 때는 이불처럼 접어서 보관하지 않도록 하고 동그랗게 말아서 보관해야 하며 KC인증 마크를 받은 제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일은 초동대처와 대피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화재가 발생 시 초기대응으로서의 소화기 1대의 조치가 나중에 소방차 10대 이상의 역할을 한다는 말이 있다.  시민들이 인화물질의 사용에 유의하고 손닿는 자리에 소화기만 비치해 둔다면 전국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  하지만 화세가 커졌을 때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 119에 신고해야 한다. 시민들이 `대피`도 잘하고 119 `신고`도 잘하고 초기 `진화`까지 잘한다면 금상첨화이겠지만 그중에 하나만 고르라면 필자는 `대피`가 제일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신고`는 `대피`하고 나서 되는 것이고 다른 사람이 대신 할 수도 있는 일이다. `화재 진압`은 소방공무원이 제일 잘한다.  하지만 `대피`를 통해서 내 목숨을 지키는 것은 아무도 대신해 줄 수 없는 일이다.  우리 소방공무원들은 절실하고 절박한 마음으로 화재현장에 출동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데 최선을 다하지만 잿더미가 된 현장은 안타까움과 씁쓸한 기분만 남긴다.  불은 돌이킬 수 없고 회복할 수 없다.  조금만 더 관심을 기울이고 조금만 더 노력하고자 하는 당부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