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이 잠잠해지니 이젠 독감(인플루엔자)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 9월 개학 이후부터 초중고생 사이에서 급격히 퍼지다 10월 들어 주춤하는가 싶더니 다시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고 있어 보건당국도 비상이 걸렸다.  지난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0월 22~28일(43주 차)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 환자 수(의사환자 분율)는 32.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유행 기준인 6.5명보다 5배 높고 최근 5년간 같은 기간 대비 최고 수치다.  유행 양상을 살펴보면 휴가시즌인 지난 7월 30일~8월 5일(30주 차) 15명에서 35주 차(10명)까지 6주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 개학시즌인 9월 들어 36주 차(3~9일) 11.3명→37주 차 13.1명→38주 차 17.3명→39주 차 20.8명으로 빠르게 확산했다.  특히 이 기간엔 개학과 맞물려 학생층을 중심으로 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다 지난 10월에 접어든 40주 차(1~7일)에 14.6명으로 기세가 한풀 꺾이는 듯했던 독감 환자 수는 41주 차(8~14일) 15.5명→42주 차 18.8명으로 슬금슬금 많아지다 지난주 32.6명으로 일주일 새 73.4% 폭증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2020년 절기 12월 둘째 주 기록(28.5명)보다도 높은 수치다.  특히 7~18세 아동·청소년 연령층의 독감 확산 양상은 매주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7~12세 초등학생 연령층의 경우 36주 차(9월 3~9일) 25.3명→37주 차 30.8명→38주 차 47.5명→39주 차 53.8명으로 늘어나다 기세를 꺾어 40주 차(10월 1~7일) 32.1명→41주 차 31.9명으로 감소세로 접어든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42주 차에 50.4명으로 늘어난 뒤 지난주인 43주 차 86.9명으로 환자 수가 급증했다. 이는 유행 기준의 13.4배에 이르는 수치다.  13~18세 중고등학생 연령층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10월 들어 22.7명까지 줄었던 환자 수는 41주 차(8~15일) 30.6명→42주 차 39.9명으로 늘다 지난주 유행 기준의 10.4배에 이르는 67.5명까지 폭증했다.  학생들 사이에서 대규모 유행이 이어지면서 학부모 연령층도 독감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주에도 7~18세에 뒤이어 19~49세에서 유행 기준의 4.6배인 30.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최근 4주 동안 입원환자와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에서 독감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0월 넷째 주(22~28일) 질병청이 운영하는 전국 급성호흡기감염병 표본감시 병원 218개소에 입원한 환자의 35%, 상급종합병원급 42개소에 입원한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의 39%가 독감 환자로 확인됐다.  이에 보건당국도 비상이다. 역대 유례없는 독감 유행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백신 접종률은 예년에 비해 낮아 질병청은 끊임없이 독감 백신 접종을 안내하고 있다.  독감 백신은 전 연령이 지정 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맞을 수 있다. 어린이와 임산부, 65세 이상은 무료로 접종을 받을 수 있다.  독감 진단을 받으면 열이 떨어진 후 24시간이 지나 감염력이 사라질 때까지 등교, 등원, 출근 등을 해선 안 된다. 또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가정 내 65세 이상 고령자 등 고위험군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독감 예방을 위해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지만 한 번 벗은 마스크를 다시 쓰는 일이 쉽지 않고 거부감까지 표출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사람이 많이 모여 있는 장소나 감기·독감·코로나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나와 남을 위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일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