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연어의 대처방안을 `연어류 스마트 아쿠아 팜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연어는 WHO가 발표한 세계 10대 슈퍼 푸드 중 유일한 동물성 식품으로서 최근 글로벌 시장과 식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어 소비량은 최근 약 10년간(2013년 1만8000t→ 2021년 5만7000t) 3배 가까이 수입량이 증가했다.  세계 연어 양식 생산량은 377만t이며 노르웨이와 칠레가 연어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연구원은 지난 1970년대부터 시행된 북태평양 연어의 치어 방류사업의 패턴을 완전양식기술 개발을 목표로 자원화를 추진해 북태평양소하성 어류위원회(NPAFC)의 과학적인 자원의 보존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대서양 연어와 최고 품질을 자랑하는 왕연어에 대해 스마트양식 기술을 도입해 새로운 양식생산 연구에 교두보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 2월에는 해수부 R&D 공모에 동 사업이 선정돼 사업비 20억원을 확보함으로써 프로젝트 추진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연어가 민물에서 부화해 바다에서 성장하는 특성을 살려 연어의 인공종자 생산은 민물고기연구센터에서(부화∼100g까지) 수행하고 연구원에서는 성장육성을 통한 어미화까지 집중 연구를 통해 학술적 연구 가치와 어업 생산력 증진에 청신호를 밝힌다.  또 2021∼2025년(4개년)간 총 사업비 400억원이 투자되는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연계·협력해 양식기술개발을 통한 4차 산업화를 이뤄내는데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된다.  김성학 도 해양수산국장은 "수입되는 연어의 스마트 완전양식기술을 통한 자원회복, 연어연구 분야를 선도하는 롤모델 실현과 더불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북형 K연어의 위상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표명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