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동해안의 심해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 이를 추진하기 위해 울진에 심해연구지원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심해는 온도, 압력, 염도, 빛 등에서 극한의 환경으로 개발하기 어렵지만 동시에 무궁한 자원과 발전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개발함으로써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국내 심해 연구와 개발은 수심이 얕은 서해나 남해와는 달리 평균 1700m 최대 3700m의 깊은 수심을 가진 동해가 가장 적합하다.
지난해 12월 23일 경주에서 열린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와 경북도 간 연안경제 협의회에서도 경북을 중심으로 한 심해과학 연구 거점 조성의 필요성이 심도 있게 다뤄진 바 있다.
도는 울진군과 함께 차세대 자원보고인 심해연구 기반조성을 위해 선도적으로 사업추진에 나설 에정이다.
심해연구에 가장 적합한 동해안에 연구지원시설을 유치해 환동해 경제 활성화의 돌파구를 마련하자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울진군은 지난해 환동해 심해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기획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1단계로 연구지원 시설 구축 설계예산 (설계비 1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정부부처에 국비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도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심해연구센터 설립의 타당성을 마련하고 연구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동해안 심해과학 세미나`를 열며 이론적 기반을 구축한 바 있다.
그간 도는 해양과학분야의 발전을 위해 수중로봇 및 수중글라이더 기술개발, 무인해양장비 연구, 해양바이오 등 신산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해왔다.
또 현재 국방과학기술 접목, 해양 R&D기관 협의회 운영, 해양과학기반 기업 지원 사업 등의 다양한 관련 시책을 시행하고 있다.
김남일 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동해안을 품고 있는 경북은 심해과학 연구의 최적지이며 심해자원을 활용해 만들어지는 신산업이 환동해 경제 활성화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심해연구풀과 같은 연구지원시설이 울진 지역에 들어서게 되면 경북은 심해연구의 메카로서 대한민국의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