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지역화폐 `포항사랑상품권`의 최근 3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산유발효과 7619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045억원 등 지역경제에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포항시는 지역화폐 소비자의 이용 현황과 소비패턴 등 관련 데이터의 과학적이고 다각적인 분석으로 지역화폐 활성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포항사랑상품권에 대한 지난 3년간(2019~2021)의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포항사랑상품권은 포항시가 소상공인 매출향상과 지역경제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역점 추진한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지난 2017년 1월에 지역금융기관과 판매대행 협약을 체결하고 지류형 1300억원을 순수 시비로 최초 발행했으며 올해까지 총 누계발행액은 1조6200억원이다.
분석을 통해 해당기간 1조348억원의 누적 결제금액이 발생했고 그 중 2020년 9월 출시해 유통 기간이 짧은 카드형의 결제금액은 약 950억원(9.2%)이며, 지류형(종이형)의 결제금액은 약 10배에 해당하는 9498억원(90.8%)로 나타났다.
포항사랑상품권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 포항본부에서 제공하는 지역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투입산출(IO)분석으로 진행했다.
포항시 29개 지역의 지역화폐 최종 수요는 도소매 및 상품중개서비스에서 사용됐으며 식료품,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의료 및 보건에서 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액 규모(지류형·카드형)를 근거로 분석된 29개 지역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총 7691억원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권에 의한 부가가치 유발효과의 경우 총 3045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며 생산유발효과가 큰 지역에서 부가가치 유발효과 역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화폐 누적결제액은 경북도내 타 지자체에 비해 20배나 높으며 주요 연령층도 청년층(20·30대)의 소비 비율이 타지자체에 비해 높게 나타나 활성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김희동 기자press88@hanmail.net